죄무자성종심기 (罪無自性從心起) 죄무자성종심기 (罪無自性從心起) 죄무자성종심기 (罪無自性從心起) ... 죄의 자성 본래없어 마음따라 일어나니 심약멸시죄역망 (心若滅時罪亦亡) ... 마음 만약 없어지면 죄업 또한 사라지네 죄망심멸양구공 (罪亡心滅兩俱空) ... 죄의 마음 모두 없애 두 가지가 다 공해지면 시즉명위진참회 (是卽名爲.. 불교교리 2011.09.17
법화경 사구게(法華經 四句偈) 법화경 사구게(法華經 四句偈) 제법종본래 상자적멸상 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 佛者行道已 來世得作佛 모든 법은 본래부터 오면서 항상 스스로 적멸의 모습이니 수행자가 이런 도(道)를 수행하면 오는 세상에 성불하리라. 불교교리 2011.09.16
화엄경 사구게 (華嚴經 四句偈) 화엄경 사구게 (華嚴經 四句偈) 약인욕요지 삼세일체불 응관법계성 일체유심조 若人慾了知 三世一切佛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 만약 어떤 사람이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을 알고자 한다면, 마땅히 법계의 성품을 비춰 관찰할지니 일체의 모든것이 마음으로 이루어졌느니라. 불교교리 2011.09.16
금강경 사구게 ( 金剛經 四句偈 ) 金剛經 四句偈 (제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卽見如來 무릇 형상이 있는것은 모두가 다 허망하다 만약 모든 형상을 형상이 아닌것으로 보면 곧 여래를 보리라 (제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 미촉.. 불교교리 2011.09.15
대웅전 (大雄殿) 과 대웅보전 (大雄寶殿) 대웅전 (大雄殿) 대웅전은 커다란 영웅이 모셔진 집 이라고 부른다. '대웅'이란 부처의 덕호(德號)이다. 그 당시에는 깨달은 자를 영웅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 부처님과 좌우 협시보살로 문수보살님과 보현보살님이 봉안된다. (부인사) 불상 뒷쪽의 탱화는 영산회상에서 부처님이 .. 불교교리 2011.09.14
초조 보리달마 1. 초조 보리달마 대사 대사는 남인도 향지왕의 아들이며, 속성은 찰제리, 본명은 보리다라 이다. 대사는 양무제와 대화에서 불법이 전해지 못할 것을 알고, 갈대를 꺾어 타고 양자강을 건너 소림사에 도착하였다. 면벽 9년만에 혜가를 만나게 되었다. 한번은 이조 혜가에게 말하였다. "밖으로 모든 인.. 불교교리 2011.09.14
신묘장구대다라니 신묘장구대다라니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가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 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 불교교리 2011.09.14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커다란 지혜의 완성을 위한 말씀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觀自在菩薩 行心般若波羅蜜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모두 공함을 비춰 보고 .. 불교교리 2011.09.13
개법장진언( 開法藏眞言) 개법장진언( 開法藏眞言) (법장을 여는 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 법장이란 부처님의 미묘하신 법을 쌓아 놓은 창고라는 뜻입니다. *** 불교교리 2011.09.11
개경게(開經偈) 개경게(開經偈) (경전을 찬탄하는 게송) 무상심심미묘법 (無上甚心微妙法) ... 가장 높고 미묘하고 깊고 깊은 부처님법 백천만겁난조우 (百千萬劫難遭遇) ... 백천만겁 지나도록 만나뵙기 어려워라 아금문견득수지 (我今聞見得受持) ... 나는 이제 다행히도 듣고 보고 지니오니 원해여래진실의 (願解如來眞實義) ... 원하옵건대 부처님의 진실한 뜻 알아지이다. *** 희명화프리즘 : 경전을 독송할 때면 먼저 경전을 찬탄하는 게송인 개경게를 합니다. 사람 몸 받고 태어나기도 어렵고, 불법 만나기도 어렵다는 뜻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울 수 있는 인연에 감사함.. 불교교리 201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