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홍서원 (四弘誓願) 사홍서원 (四弘誓願) (네 가지 큰 서원을 발함) 중생무변서원도 (衆生無邊誓願度) ... 한량없는 모든 중생 남김없이 건지리다. 번뇌무진서원단 (煩惱無盡誓願斷) ... 번뇌 망상 끝없지만 남김없이 끊으리라. 법문무량서원학 (法門無量誓願學) ... 한량없는 모든 법문 남김없이 이루리다. 불도무상서원성 (.. 불교교리 2011.08.23
사성제 (四聖諦) 사성제 (四聖諦) 사성제는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이루시고 나서 최초로 설법하신 내용이다. 사성제는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①고(苦, suffering), ②집(執,the origin of suffering), ③멸(滅, the cessation of creating suffering), ④도(道, the path that leads to the cessation of creating suffering)의 4가지 거룩한 길, 방법이다. 1. 고.. 불교교리 2011.08.22
수행이란 무엇인가? 수행이란 무엇인가 수행이란 자기 자신의 힘으로 체험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올바로 이해하려는 작업을 말하며, 우리가 수행을 하는 이유는 청정과 지혜를 얻어 궁극의 행복인 열반을 이루기 위해서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행복이란 모든 괴로움이 소멸한, 궁극적인 마음의 평온과 안락인 열반.. 불교교리 2011.08.22
육바라밀과 팔정도 태어난 것은 모두 부처의 씨앗을 갖고 있습니다. 그 씨앗이 잘 자라서 완성된 부처를 이룰 때까지 우리는 열심히 노력해야 합니다. 이것을 정진한다고 말하기도 하고, 수행한다고도 말합니다.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알려주신 깨달음의 길은 바로 연기법과 중도법문이지요. 나중에 더 자세한 내용을 알.. 불교교리 2011.08.22
오시팔교(五時八敎) 오시팔교(五時八敎) 오시팔교(五時八敎)는 천태대사(天台大師) 지의(智顗, 538년~597년)가 주장한 중국 천태종(天台宗)의 교판(敎判)이다. 천태종(天台宗)의 교상판석(敎相判釋)은 중국 남북조시대의 각종 교판(敎判)을 이어받아 설법의 형식,방법,내용 등에 따라서 분류·정리하여 체계를 세우는 것으로.. 불교교리 2011.08.13
무아(無我) 무아 (無我) 붓다는 정신과 육체를 분석해서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찾아내었고 그 요소들이 인연화합한 것을 오온이라고 이름하며 이것을 개인존재로 보았다. 다섯가지란 색(色) (물질적인 부분. 육체), 느낌 (수 受), 생각(상 想), 결합 (행 行), 식별 (식 識) 이다. 이 다섯가지가 임시로 모여서 자기존재.. 불교교리 2011.08.12
참선(參禪) 수행 참선(參禪) 수행 참선(參禪)이란 ‘선(禪)에 참입(參入)한다’는 뜻이다. 참입이란 마치 물과 우유처럼 혼연일체가 된다는 의미이며, 선은 산스크리트어 드야나(dhya-na)를 음사한 것으로 ‘고요히 생각한다’ 또는 ‘사유하여 닦는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래서 옛 문헌에서는 사유수(思惟修)로 번역.. 불교교리 2011.08.10
주력(呪力) 수행 주력(呪力) 수행이란 무엇인가? 주력(呪力)은 진실한 말의 힘을 빌린다는 뜻 입니다.그래서 진언(眞言)이라고도 합니다. 진언이나 주력은 어떤 개념이나 인위적인 의도가 전혀 개입되지 않은 '말 이전의 말' 이며,사람의 의도가 개입되기 이전의 소리이기 때문에, 이것을 범음(梵音)이라고도 하며, 우주.. 불교교리 2011.08.10
간경(看經) 수행 간경(看經) 수행 부처님의 경전은 어느 것이나 같습니다. 금강경을 읽거나 반야심경을 읽거나 관음경을 읽거나 모두가 같습니다. 이것과 저것의 차별을 생각하지 말고 한 가지를 중심에 두고 끝까지 밀어붙이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불교의 이야기는 모두가 우리의 마음에 관한 것입니다. 염불, 주력, .. 불교교리 2011.08.10
염불(念佛) 수행 염불(念佛) 수행 염불에서 말하는 념이란 지킴(守)을 뜻합니다. 참 성품을 늘 드러나게 하고 끝없이 기르려면 그것을 지켜 잃어버리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염불에서 말하는 불이란 깨달음이라는 뜻입니다. 깨달음이란 참 마음을 밝게 비춰서, 늘 깨어 있어 어둡지 않음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한결같.. 불교교리 201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