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 사구게 [華嚴經 四句偈] 화엄경 사구게 [華嚴經 四句偈] 心如工畵師 能畵諸世間 五蘊實從生 無法而不造 (심여공화사 능화제세간 오온실종생 무법이불조) ..... 마음은 그림을 그리는 화가와 같다 능히 모든 세상일을 다 그려낸다. 오온이 다 마음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무엇도 만들지 않는 것이 없다. 若人知心行 普造諸世間 是.. 불교교리 2011.09.01
법화경 (法華經) 법화경 (法華經) ‘법화경(法華經)’의 원명은 범어(梵語) saddharma-pundarika-sutram으로서, 직역하면 ‘무엇보다도 바른 백련(白蓮)과 같은 가르침’이다. 이것을 중국어로 번역할 때 서진(西晋)의 축법호(竺法護)는 이 본래의 뜻에 따라 ‘정법화경(正法華經)’이라고 한역하였고, 요진(姚秦)의 구마라집(.. 불교교리 2011.09.01
화엄경 게송 (부처님의 복밭) 부처님의 복밭 대지는 하나인데 종자에 따라 저마다 싹을 튀운다 거기에는 원친이 없듯이 부처님의 복밭도 그러하니라. 물은 한 가지 맛인데 그릇으로 인해 차별이 있다 부처님의 복밭도 그와 같아서 중생의 마음따라 다르느니라. 교묘한 요술장이가 여러 사람들을 기쁘게 하듯이 부처님의 복밭도 그.. 불교교리 2011.08.31
화엄경 입법계품 입법계품 (入法界品) 1. 문수사리 보살을 만남 문수사리보살이 여러 비구들에게 위없는 보리심을 내게 하고 나서, 점점 남쪽으로 가다가 복성의 동쪽에 이르러 장엄당사라림에 머물렀다. 그 때 복성 사람들은 문수사리보살이 장엄당사라림의 큰 탑이 있는 곳에 왔다는 소문을 듣고 무리지어 그곳에 모.. 불교교리 2011.08.30
화엄경 약찬게 화엄경약찬게 (華嚴經略纂偈) 대방광불화엄경 용수보살약찬게 나무화장세계해 大方廣佛華嚴經 龍樹菩薩略纂偈 南無華藏世界海 비로자나진법신 현재설법노사나 석가모니제여래 毘盧遮那眞法身 現在說法盧舍那 釋迦牟尼諸如來 과거현재미래세 시방일체제대성 근본화엄전법륜 過去現在未來世 十.. 불교교리 2011.08.30
화엄경 (수행의 52계위) 화엄경 내용(7처 9회 39품 . 80화엄) 제1회 보리장중(6품): (세주묘엄품, 여래현상품, 보현삼매품, 세계성취품, 화장세계품, 비 로자나품) 제2회 보광법당(6품): (여래명호품, 4성제품, 각명각품, 보살명난품, 정행품, 현수품) 제3 도리천궁(6품): (승수미산정품, 수미산정게찬품, 10주품, 범행품, 초발심공덕품,.. 불교교리 2011.08.29
도(道) '도'란 과연 무엇일까? 하고 고민하던 한 사람이 대주스님을 찾아왔다. "도란 큽니까?" "무지하게 크지." "도는 혹시 작은 게 아닙니까?" "무지하게 작지." "스님은 어째서 크다고도 하고 작다고도 하십니까?" "어째서 그렇지 않은지 그럼 네가 말해 보겠느냐?" 과거에 죄를 많이 지은 사내가 근심을 하다가.. 불교교리 2011.08.26
화엄경의 설법장소와 내용 화엄경의 설법장소와 내용 화엄경은 7처 8회 법을 설하고 있다. (60화엄) 화엄경은 부처님께서 깨닫고 처음 설법하신 내용이였으나, 중생이 근기가 낮아 이해하지 못하여서 21일간만 설법하셨다고 한다. 대승불교 경전들을 보면 드라마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형식이야 어쨌던지 핵심사상을 .. 불교교리 2011.08.26
여래십대발원문 여래십대발원문 (如來十大發願文) 원아영리삼악도 (願我永離三惡道) .... 영원토록 삼악도를 여위옵기 바라오며 원아속단탐진치 (願我速斷貪嗔痴) ... 하루 속히 탐진치를 끊기를 원하오며 원아상문불법승 (願我常聞佛法僧) ... 한결같이 불 법 승 듣기를 원하오며 원아근수계정혜 (願我勤修戒定慧) ... .. 불교교리 2011.08.25
화엄경(華嚴經) 대방광불화엄경(大方光佛華嚴經) [화엄경]은 부처님이 성도한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표명하고 있는 경전이다. 대승경전 중에서도 교학적. 사상적으로 불교의 핵심을 가장 깊게 담고 있다. 화엄경의 원이름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光佛華嚴經)이다. 대방광불(大方光佛)은 무한 광대한 부처라는 뜻으.. 불교교리 201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