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과 니카야 아함경과 니카야에 대하여 1. 아함경과 니카야란 무엇인가? 아함은 산스크리트 아가마(gama)의 음역으로서, 전승(傳承)이란 의미의 말이다. 이 이름으로 불리는 문헌이 현재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안에 네 가지가 포함되어 있는데 ① 《장아함경(長阿含經)》 ② 《중아함경(中阿含經)》 ③ 《잡아.. 불교교리 2011.08.09
합장 합장 예배법 합장법(合掌法) 합장은 흐트러진 마음을 한군데로 모아 너와 내가 하나가 된다는 인사법이다. 합장을 할 때는 두 손을 앞으로 올려 가슴 위에 서로 맞대어 두 손과 열 손가락을 모으되 어긋나거나 벌어지면 안 된다. 그리고 손목은 가슴의 한 가운데에 맞추고 손가락 두 마디 정도 떨어지.. 불교교리 2011.08.01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5)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 5. 스님에 대한 예절 사찰에서나 길에서 스님을 만났을 경우 합장 반배를 올리며 법우나 신도끼리도 합장 반배한다. 그러나 자리가 마련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님에게는 1배하고 법사, 은사, 큰스님에게는 3배를 한다. 큰스님의 이름은 법명 중 끝 자만 부르고(예 : 명 스님) 스님.. 불교교리 2011.08.01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4)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4) 4. 법회 예절 부처님의 정법을 믿고 배우고 따르는 불자라면 항상 돈독한 신심과 경건한 마음으로 법회에 참석해야 한다. 그리고 설법을 들을 때는 잘 아는 내용이라고 해서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고 또 너무 어렵다고 해서 현애상(懸崖想 : 해보기도 전에 너무 어렵다고 생각.. 불교교리 2011.08.01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3) 3. 불전에서의 예절 법당에 들어서면 조용히 문을 닫고 부처님을 향하여 공손히 합장 반배를 한 다음 불단 앞까지 합장의 자세로 조용히 걸어가 촛불을 켜고 향을 피운 후 한 발 뒤로 물러나서 합장 반배를 올린다. 그 다음에는 뒷걸음으로 다섯 걸음쯤 물러서서 마땅한 자리를 찾아 예배드린다. 그런.. 불교교리 2011.08.01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2)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2) 2. 도량에서의 예절 도량에 들어서면 먼저 대웅전에 가서 부처님께 참배한 뒤 스님을 찾아뵈어야 하며 법당에 출입할 때는 가운데 문을 사용해서는 안 되고 양쪽 옆문으로 출입을 하여야 하며 예배할 때도 가운데에서 예배를 하면 안 된다. 사찰에서는 쓸데없이 돌아다녀서는.. 불교교리 2011.08.01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1)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1) 1. 사찰을 찾을 때의 몸가짐 사찰은 부처님을 모신 장엄한 성전이며 불자들이 세속의 속진(俗塵)을 깨끗이 씻으며 지혜를 닦는 수행의 도량이자 기도하고 참회하는 정진의 도량이다. 그러므로 불자가 사찰을 찾을 때는 마음가짐을 맑고 밝게 가져야 한다. 사찰을 찾을 때의 옷.. 불교교리 2011.08.01
불상에 예배 드리는 까닭 1. 불상에 예배 드리는 까닭 우리가 불상에 예배 드리는 것은 물체인 불상이 아니라 부처님의 덕과 진리를 존경하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 예배 드리는 것은 덕과 진리를 존경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처님께 예배 드린다는 것은 곧 인간의 존엄성 내지는 생에 대한 외경의 발로라 하겠습니다. 부처.. 불교교리 2011.08.01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란 무엇인가? 1. 종교의 필요성 오늘날 과학문명의 발전은 물질적 풍요와 편리함은 생활의 편이를 제공하지만 우주와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를 밝혀 주지는 못합니다. 과학문명은 환경 파괴와 재해를 안겨주고 핵무기 개발로 엉청난 재앙 가능성으로 인류에게 불안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과학문명.. 불교교리 2011.08.01
불자의 오계 ○ 오계 계(戒)란 신자들이 지켜야 할 행위규범을 말하는 것입니다. 신자들은 사회생활과 일상생활을 통해 이 계를 지키고 실천함으로써 올바른 인간생활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어느 불교국가를 막론하고 재가신자들이 지켜야 할 개인적인 계율로서 5계가 있습니다. 그 다섯가지란 다음과 같습니다... 불교교리 2011.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