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과 니카야에 대하여
1. 아함경과 니카야란 무엇인가?
아함은 산스크리트 아가마(gama)의 음역으로서, 전승(傳承)이란 의미의 말이다. 이 이름으로 불리는 문헌이 현재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안에 네 가지가 포함되어 있는데
① 《장아함경(長阿含經)》
② 《중아함경(中阿含經)》
③ 《잡아함경(雜阿含經)》
④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이다.
이 넷은 산스크리트 원전에서 한역된 것이 분명하며, 이 중 《장아함경》의 원전은 그 일부분이 현재 남아 있어서 대조 검토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을 제외하고는 한역 아함의 원본은 전래되지 않는다.
위의 네 가지 아함 중에서 크기로 보면 《장아함경》이 제일 적어 22권이고, 나머지 ② ③ ④는 각각 60권, 50권, 50권으로 상당한 분량에 달하는 것이다. 이 한역 아함경에 해당하는 팔리어(語)로 된 문헌이 현존하는데, 아가마가 아니라 니카야(Nikāya)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팔리어 니카야에는 다섯 가지가 있는데, 그 명칭이나 내용이 한역본과 상응하여서 이 니카야는 팔리어를 사용하던 한 부파(部派)에서의 경전 집성(集成)으로 간주되고 있다.
4아함이나 5니카야는 그 하나하나가 1경(經)을 이루는 것이 아니고, 각 아함과 각 니카야가 많은 경(經)으로 집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한역에서 《아함경》이라고 명명한 것은 엄밀히 따지면 잘못된 표현이며, 그냥 ‘아함’이라고만 하는 편이 더 온당하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팔리어 니카야의 경우를 예로 들면,
① 장부(長部)에는 길이가 비교적 긴 경 34가지가 포함되어 있고,
② 중부(中部)에는 길이가 비교적 중간쯤의 것 152가지가 집성되어 있고,
③ 상응부(相應部)에는 짧은 경 2,875가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④ 증지부(增支部)에도 역시 짧은 경 2,198가지가 법수(法數)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으며,
⑤ 소부(小部)에는 《법구경(法句經)》 《본생담(本生譚)》 등 잘 알려진 경을 포함한 15가지가 들어 있다. 구성 자체로 보면 팔리어 니카야와 한역 아함 사이에는 유사성은 있으나 완전한 일치는 없다.
한역 장아함에는 32경, 중아함에는 22경, 잡아함에는 1,362경, 증일아함에는 472경이 들어 있어 그 숫자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현재 유포되고 있는 불교 전적 중에서는 이 경전이 율장(律藏)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한역의 4아함은 원래 한 부파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이 아니라, 다른 부파들의 것을 중국인들이 모아 4아함의 체제를 갖춘 것으로 밝혀졌다.
이 아함의 주요 사상은 사제(四諦)와 연기(緣起)로 요약할 수 있는데, 그 사유의 전개방식은 초보적 단계라고 평가되기도 한다. 이 아함의 팔리어본(本)인 5니카야는 베트남 ·타이완[臺灣]을 제외한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최상무이(最上無二)의 절대적 성전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역 4아함은 그 번역이 이루어진 지가 매우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한국 ·일본 등 대승불교권에서 이를 묵살하다시피 해왔다.
다만 근래에 일본에서 《아함경》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한국에서도 《법구경(法句經)》 같은 아함 경전이 번역 유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내놓은 많은 불교 설화 ·동화 ·비유 등의 저술이 사실은 이 《아함경》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진 것들이다.
2. 교상판석(敎相判釋) - 경전 성립에 대한 중국적 해석
법화경을 근거로 한 천태종의 교판은 오시교(五時敎)다.
1.화엄시-21일간-화엄경
2.녹원시-12년-아함경
3.방등시-8년-유마경, 사익경, 금광명경, 승만경 등의 대승 경전
4.반야시-21년-여러 반야경
5.법화열반시-8년-법화경. 1일간 열반경.
阿含十二方等八 二十一載談般若
아함십이방등팔 이십일재담반야
終談法華又八年 最初華嚴三七日
종담법화우팔년 최초화엄삼칠일
3. 12분교이란?
근래 연구된 바에 의하면 초기불교 성전으로서 <율장>과 <경장>이 편집되기 전에 이미 복잡한 성립사가 있었다고 한다. 먼저 <율장>에 대해 살펴보면 출가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의 조문을 모은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 (Patimokkha, Pratimoksa)가 비교적 일찍 정리되어 ‘경(經)’(sutta, sutra)이라고 불렸다.
그리고 점차 그것의 설명 해석인 ‘경분별(經分別)’이 성립하게 된다. 또 출가교단의 운영에 대한 제반 규칙인 ‘건도부(建度部)’의 주요부분도 비교적 오래전에 성립하였다. 불멸(佛滅) 100년(또는 110년) 베살리에서 개최된 제2결집은 계율상 10 가지 문제(이른바 十事)를 둘러싸고 이루어졌는데, 이때까지 바라제목차와 건도부의 원형적인 형태가 갖추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반해 <경장>은 석존(및 그 제자)이 그때그때 언급한 설법을 집성한 것으로, 현재와 같은 형태로 종합되기 이전에 먼저 제자들에 의해 기억하기 편리한 형태로 정리되었을 것이다. 즉 석존이 자신의 교설을 필사(筆寫)하였다고 하는 기록은 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 남아 있는 교설은 모두 그 제자들에 의해 전해진 것이며, 그것은 모두 개략적인 줄거리의 형태로서 정리된 것이다.
이러한 개관의 형태는 싯구라든가 짧은 산문과 같은 여러 가지 형식으로 전승되었으며, 그 가운데 가장 조직적인 형식으로 나타난 것이 ‘구분교(九分敎)’ 혹은 ‘십이분교(十二分敎)’라고 하는 분류이다. 구분교라고 하는 것은 팔리어 성전에 의하면,
⑴ 숫타 sutta (‘契經’, 석존의 가르침을 간결하게 정리한 산문)
⑵ 겟야 geyya (‘應頌’ 또는 ‘重頌’, 숫타의 내용을 詩로 반복하는 형식)
⑶ 벳야카라나 veyyakarana (‘記說’, ‘授記’, 간결한 문답 형식)
⑷ 가타 gatha (‘偈頌’, 詩句의 형식)
⑸ 우다나 udana (‘自說’ 또는 ‘感興語’, 석존이 감응적으로 설한 詩)
⑹ 이티붓타카 itivuttaka (‘如是語’, 켓야의 특수한 형식)
⑺ 자타카 jataka (‘本生’, 석존의 전생 이야기)
⑻ 베달라 vedalla (‘毘陀羅’, ‘方廣’, 중층적인 교리문답)
⑼ 앗부타 담마 abbhuta-dhamma (‘未曾有法’, 희유한 공덕 · 기적에 관한 교설)
의 아홉 가지를 말하며, 북전(北傳)의 문헌(산스크리트어 및 한역의 經論)에만 나오는 십이분교는 구분교에다 다음의 세 가지를 더한 것이다.
⑽ 니다나 nidana (‘因緣’, 계율 조문의 성립 사정에 관한 이야기)
⑾ 아바다나 avadana (‘譬喩’, 불제자에 대한 과거세 이야기)
⑿ 우파데샤 upadesa (‘논의(論議)’, 교리에 대한 설명이나 해석)
여기서 구분교와 십이분교 중 보통 구분교가 더 오래된 분류라고 보며, 또 구분교 가운데에서도 처음 다섯 가지 형식이 뒤의 네 가지 형식보다도 오래된 것이라고 본다. 구분교와 십이분교는 ‘율’에 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지만 주로 ‘법’에 관한 분류이며, ‘경장’의 오부(五部), 사아함(四阿含)의 분류보다도 더 오래 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다만 구분교와 십이분교가 오부(五部), 사아함(四阿含)보다 먼저 성립하였다고는 해도 구체적인 경전의 분류로는 생각되지 않는다. 요컨대 이러한 분류는 불제자들이 정리한 석존 교설의 줄거리를 형식적으로 정리하여 기억하기 쉽게 하려는 동시에 성전으로서의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구분교나 십이분교처럼 간결하고도 개략적인 형식만으로는 석존이 실제로 설법할 때의 상황이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내용을 갖춘 형식의 경전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또한 구분교나 십이분교의 분류에 적용되지 않는 새로운 경전의 작성이 요구되었다. 이렇게 하여 점차 현재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형식의 경전이 형성되었고, 이들 다수의 경전을 새롭게 분류하고 집성한 ‘경장’이 성립하기에 이른 것이다.
<약사정토도량 안심정사 카페>
▲아함경(阿含經)
아함은 범어 아가마의 음역(音譯)이다. 전승(傳承)이란 뜻을 갖고 있다. 말하자면 전해져 온 부처님의 가르침이란 의미다. 석존 열반후 1백~2백년이 지나자 입으로 입으로 전해져 오던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을 모으자는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렇게 해서 모은 것을 아가마라 부른 것이다.
그래서 아함경은 한 권의 경전이 아니라 부처님의 교설 전체를 담은 백과사전과 같다고 할수 있다. 불교의 근본사상이 담겨 있는 것이다. 대승과 소승의 구별도 없으며 이설의 대립도 없다. 유명한 사성제(四聖諦) 팔정도(八正道) 십이인연(十二因緣) 십이처(十二處) 오온(五蘊) 중도(中道) 십팔계(十八界) 등 불교의 근본교리가 함축되어 있다.
아함경에는 남전(南傳)과 북전(北傳)이 있다. 북전은 한역(漢譯) 아함경이다. 한역 아함경은 네가지로 나눌수 있다. 장아함경(長阿含經) 22권엔 장편 경전 30경이 들어 있다. 중아함경(中阿含經) 60권에는 중편경전 222경이 담겨 있다. 아울러 잡아함경(雜阿含經) 50권은 단편경전 1362경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51권에는 471경이 들어 있다. 보통 "4아함"이라고 한다.
그리고 남전(南傳)은 남방불교의 팔리어 5부(部·니카야)다. 여기서 니카야는 부분이란 뜻이다. 장부(長部) 중부(中部) 상응부(相應部) 증부(增部) 소부(小部)가 그것이다. 대개 "5아함"이라고 부른다. 이중 소부(小部)에 유명한 법구경(法句經) 본생담(本生譚) 등 경전 15편이 들어 있어 한역 아함경과 구별짓는다.
근래의 연구에 따르면 아함경이 율장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경전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4아함은 어느 한 부파(部派)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이 아니라 다른 부파의 것을 모아 엮은 것으로 밝혀졌다. 팔리어경전의 5아함은 동남아에서 최고의 경전으로 추앙받고 있다.
(현대불교 미디어센터 ⓒ 2005)
*** 오랫만에 초기불전을 읽다 보니, 아함과 니까야에 대한 차이를 제대로 알고 싶어졌기에 이곳 저곳 사이트를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부처님 당시에 사용하던 산스크리트어(귀족층이 주로 사용한 언어) 와 팔리어(평민과 천민이 주로 사용한 언어)로 서술된 문장들의 해설방법에도 시대에 따른 차이가 있기에 최근에 새롭게 경전해석에 대한 토론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셨던 근본사상에는 차등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부처님께서는 일체중생이 모두 여래와 같은 지혜와 덕성을 갖추고 있건만, 분별망상으로 깨닫지 못하고 있음을 우리들에게 알려주고 계십니다. ***
'불교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 다스리기 (0) | 2011.08.10 |
---|---|
나는 누구인가? (0) | 2011.08.09 |
합장 (0) | 2011.08.01 |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5) (0) | 2011.08.01 |
불자가 지켜야 할 예절(4) (0) | 201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