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승이 물었다.
"무엇이 합두(合頭)입니까?"
조주 스님이 말했다.
"그것은 네가 합두하지 않는 거야."
학승이 말했다.
"무엇이 합두하지 않는 것입니까?"
조주 스님이 말했다.
"앞의 말로 알아차려라."
問 如何是合頭 師云 是你不合頭 云 如何是不合頭 師云 前句辨取
합두(合頭)는 합치하다, 일치하다는 뜻이다. 학승은 부처님 사상과 합치되고 진실과 일치되는 것은 무엇인가 묻는 것이다. 진실은 말할 수 없다. 언어자체가 불완전한데 어떻게 말로써 진실을 다 표현한단 말인가? 그렇다고 해서 달리 어떤 행동으로 보인다고 해도 그 또한 완전하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것은 네가 합두하지 않는 거야"라는 이 뜻은 선(禪)의 백미(白眉)이다. 많은 사람들이 선에 대하여 이러쿵저러쿵 말하고 있지만 그것이 과연 선을 제대로 설명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바른 견해를 밝힌 내용이다.
학승이 물었다.
"무엇이 화상의 정확한 뜻입니까?"
조주 스님이 말했다.
"그만 둬, 그만 둬. 설명할 필요 없어. 나의 법은 미묘하여 생각하기 어려워."
問 如何是和尙的的意 師云 止止不須說 我法妙難思
선사들의 법은 미묘하다. 그 어떤 말이나 행동으로도 선사의 의중을 파악하기 어렵다. 선사는 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물의 근원과 통하기 때문에 그 미묘한 접화(接化)를 가히 짐작하기 힘들다. 선사는 나약한 풀잎 하나를 들고도 천하 대장정을 쓰러트릴 수 있고, 말 한 마디로 사람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모든 것이 다 미묘법을 쓰기 때문이다.
혹 보통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이 같은 선사의 뜻을 깊이 이해하기 어렵지만 근원을 통한 한 차원 높은 이런 말이 있어서 오늘 우리가 사는 세상이 결코 유치하고 허망되지 않음을 저 뒷사람들은 알게 될 것이다.
학승이 물었다.
"맑고 맑아서 한 점의 얼룩도 없을 때는 어떠합니까?"
조주 스님이 말했다.
"구덩이에 떨어지고 굴에 빠지고 말아."
학승이 말했다.
"어떤 잘못이 있습니까?"
조주 스님이 말했다.
"자네가 사람을 그르치고 있는 거야."
問 澄澄絶點時如何 師云 墮坑落塹 云 有什麽過 師云 你屈著與麽人
<반야심경>의 불구부정(不垢不淨)은 진리의 척도이다. 이 말에 대한 뜻을 관통하고 있다면 선과 도에 대한 핵심을 이미 꿰뚫은 것이다. 수행자들은 다만 이론뿐만 아니라, 불구부정대로 이 진리를 실현하면서 사는 것이 중요하다.
혹시라도 깨끗한 것에 빠져 있으면 그는 편협한 삶을 사는 것이다. 혹 더럽다는 개념에 빠져 있어도 편협한 삶을 사는 것이다. 게다가 깨끗함이 있고, 더러움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런 생각이 사람들을 그르치게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 사회악이 중지되지 않고 흉흉하게 유행하고 있는 것이다.
無不禪院 禪院長 石雨
(cafe.daum.net/mubulsun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