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육조단경 (六祖檀經)

희명화 2011. 9. 27. 07:26

 

 

                                                     육조단경 (六祖檀經)

 

 

 

육조(六祖)는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들어와서 달마대사가 초조가 되며, 그후 2조 혜가대사, 3조 승찬대사, 4조 도신대사, 5조 흥인대사, 6조 혜능대사가 된다.

 

 

이 <단경>은 상좌인 법해스님이 모은 것이다. 법해스님이 돌아 가시자 같이 배운 도제스님에게 부촉하였고, 도제스님이 돌아 가시니 문인 오진스님에게 부촉하였는데, 오진스님은 영남 조계산 법흥사에서 법을 전수하였다.

 

<단경>은 육조의 법문을 전한 유일한 자료이나, 그 유통과정에서 첨삭이 많아 학자들을 곤혹케 했다.

다행히 최고본인 <돈황본단경>은 천여 년동안 돈황석굴에 비장되어 뒷사람의 첨삭을 면할 수 있었다.

육조단경에는 돈황본, 종보본, 대승사본, 홍성사본, 덕이본, 또한 열두 종류의 다른 판들을 영인 수록한 <육조단경제본집성>도 좋은 자료 이다. 이에 가장 오래된 돈황본을 중심으로 네 본을 서로 대조하고 다른 여러 본을 참고하여 [단경지침]을 작성하여 보았다.

 

<단경>의 근본 사상은 식심견성(마음을 알아 성품을 봄)이요, 식심견성은 법신불인 내외명철 (안과 밖이 사무쳐 밝음) 이어서 견성이 성불이므로, 깨달은 뒤에는 부처님의 행을 수행한다고 분명히 하였다.

뒷날 교가의 점수사상이 들어와 오후점수론(깨친 뒤 점차로 닦는다는 이론)이 성행하나, 이는 <단경>에 크게 어긋나는 것이니, 육조대사의 법손인 선가는 <단경>으로 돌아와 육조대사의 본연의 종풍을 떨치기 바란다.      <제1편. 단경지침 머릿말 중에서>

 

 

                                        [돈황본 육조단경.  퇴옹 성철스님.저 ]

 

 

 

 

'불교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조록 공부  (0) 2011.10.01
조사선과 간화선의 차이점  (0) 2011.09.30
범종루에 있는 불교사물  (0) 2011.09.26
[스크랩] 불교사물  (0) 2011.09.26
진가동정게(眞假動靜偈) [육조단경 공부]  (0) 2011.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