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는 바른 믿음이 있는 자에게 가능하다.
초보자가 담박에 이뭣고 화두를 잡으면,
죽도 밥도 안된다.
화두는 바른 믿음이 있는 자에게 가능하다.
초보자는 믿음부터 다지고 들어가야 한다.
* 불성의 개념을 이해하고
참선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 불성이란? 조주는 무(無)라고 했다.
형상이 없다. 그런데 여기
이 순간에 있으며 작용하고 있다.
보이지는 않지만 모든 작용을 하고 있다.
있는데 보이지는 않으니, 이뭣고? 하게 된다.
* 관하는 힘이 커지면, 정이 익혀지고, 지혜가 생긴다.
* 화두법은 불교의 핵이다.
붓다가 경험한 것을 나도 경험하는 것이다.
* 대개의 선객들은 깨치는 것은
이런 것이다 고는 아는데,
자기가 깨치지는 못했다.
이런 상태에서 나온 선문답은 병폐다.
* 마음을 알아야 한다. 작용은 하는데
마음도 부처도 중생도 아니다.
[???] 불성을 관해서 마음에 대한
감지가 와야 화두를 할 수 있다.
* 불성은 망상이 아니라, 실상이다.
* 불성을 자각하면서, 감지하면서
묘용을 봐야 의정이 생긴다.
내가 어디에 붙들려 있나 잘 살펴봐라.
그것 깨닫자는 공부다.
집착하는 동안은 지혜가 안 생긴다.
놓아서 고요해지면 지혜가 나온다.
아는 것은 결국 망식(亡識)이다.
아는 게 나쁜 게 아니라,
아는 것에 집착하여 머무는 게 나쁘다.
내가 초보자 시절로 돌아가서 불성을 염하고
관해가니까 번뇌 망상이 길을 비켜주더라.
미세망념만 남게 되는
그 상태에서 불성의 성질을 돌이키니
그대로 관이 안으로 향하여 이뭣고가 된다.
앞으로 초보자들은 ‘불성을 관해가는 법’을
공부하면 기초가 단단히 닦아질 것 같다.
불성관(佛性觀)
우리는 우선참선을 하기전에
육국의 전란이 평정되어 있어야한다
이 육국이란 안이비설신의 육식의 다툼으로 인해서
우리들의 마음이 혼란 속에 있음을 말한다.
이것이 가라앉지 않고는 망상 속에서 화두를 들려고하기
때문에 화두를 열심히 들으려고하면 그것이 오히려
혼란을 부추겨 우리들의 몸과 마음에 긴장만 오게된다.
그래서 첫째로 육식이 평정되어지기 위해서는
이육식 또한 불성에 의지하고 있음을 자각하고 믿어야한다.
보통 우리들은 육식의 혼란에
마음이 가있어 불성을 믿는마음은 약하여
전란 속에 마음이 빼앗겨져있다
그래 이제 다시 육식의 전란에서 생긴 마음을
관하여 이것이 불성하고 같이 있다고
念하여 들어가야한다.
그렇게되면 번뇌 망상과 같이
일어나는마음이나 분노한 마음이나
참선을 열심히 하려고하는데
안되는 마음이나 일체 일어난
생각들이 불성하고 같이 있음을 믿어지게 되어
마음의 전란은 서서히 평정을 되찾게된다
사람에게 있어서 이런 평정이 안되어 있으면
자기가 자신을 자학하게되고
부정적으로 자신을 보게 되고
생각으로 생각을 파혜쳐 들어가 무엇을 얻으려고
하는 생각이 골똘해져서
이 몸과 마음에는 번뇌 망상으로
가득 차 있는 결과만 남는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우리가 참선을 하려고 하면
참선의 길은 요원하기만 하게 될뿐이다.
그래서 요즈음 말로 우리는 자기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것부터 배워야한다.
자신을 사랑하게되면 번뇌 망상도 싫어하지않게되고
자신을 쉽게 용서하게 되면
자기 자신을 믿어지는 힘이 자라난다,
이럴때는 이미 마음이 평정이 되어있어서
화두 참구를 하면 어렵지 않게 시작될수가 있다
믿음을 쌓는데 도움을 주는것이 불성관이다
이것이 공부하는 기초를 다지는일이다
현웅스님말씀중에서
|